기사상세페이지
해양쓰레기 발생 추정량이 매년 9만 톤을 넘는 가운데, 해양수산부의 해양쓰레기 수거량이 매년 줄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 공백을 지방자치단체가 수거하고 있는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해양수산부의 지원이 매우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박완주 의원이 국정감사를 앞두고 해수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매년 초목류를 제외한 해양쓰레기 발생 추정량은 9만 1,195톤에 달했습니다.
종류별로는 해상에서의 폐어구 유실이 4만 4,081톤(48.3%)으로 가장 많았고, 서해에만 4만 9,227톤(42.6%)의 침적쓰레기가 존재하는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최근 5년간 모니터링 된 해안쓰레기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재질은 플라스틱류로 2013년 47%에서 2017년 58.1%로 그 비중이 11.1%p나 증가했습니다.
이처럼 플라스틱 쓰레기 비중이 매년 증가하고 있고, 최근 미세 플라스틱으로 인한 국민 불안이 가중되고 있는 상황에서 해양쓰레기 수거의 중요성은 날이 갈수록 커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해양쓰레기 수거량은 2013년 4만 9,080톤에서 2017년 8만2,175톤으로 67%나 증가했습니다.
그러나 같은 기간 동안 해수부의 연도별 쓰레기 수거 비중은 절반이하로 떨어지고 있습니다.
2013년에 수거한 4만9,080톤 중 해수부가 수거한 양은 1만2,065톤으로 24.6%였으나 2017년에 수거한 8만2,175톤 중 해수부가 수거한 양은 9,664톤으로 11.8%로 떨어졌습니다.
5년 동안 해수부의 비중이 12.8%p 가량 급감한 것입니다.
또 같은 기간 수거된 쓰레기 총 34만8,155톤 중 해수부가 수거한 쓰레기는 5만4,328톤으로 15.6%의 비중을 차지했습니다.
그런데 이는 전남 23.6%, 경남 16.7% 등 광역지자체 보다 더 적은 비중으로 해수부의 공백은 지자체가 대신 메우고 있습니다.
더 큰 문제는 해수부가 정부 대신 해양쓰레기 수거를 담당하고 있는 지자체에 대한 지원에 인색하다는 점입니다.
지자체에 대한 지원 사업은 대표적으로 해양쓰레기 정화사업과 내년도 신규로 추진되는 바다환경지킴이사업이 있습니다.
해양쓰레기 정화사업의 경우 50% 국고보조가 이뤄지지만, 균형발전특별회계여서 지자체 재정 여건 상 현재보다 증액편성이 어려운 실정입니다.
해수부는 내년부터 신규 사업으로 바다환경지킴이사업을 시작하는데, 국비 보조율이 30%에 불과합니다.
결과적으로 지자체에 재정 부담을 떠넘기는 꼴로 해수부의 미온적인 태도를 엿볼 수 있는 대목입니다.
박완주 의원은 “해수부가 전 세계적인 환경이슈로 떠오르고 있는 해양쓰레기 문제를 지자체에 떠넘기는 것도 모자라, 지원에 인색한 모습을 보이고 있는 것은 결코 바람직하지 않다”면서 “국가 지원을 늘려 지자체가 재원 걱정 없이 해양환경 보전에 앞장설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게시물 댓글 0개